리튬·희토류·팔라듐·양자컴퓨팅·AI ETF 어디까지 갈까? 9월에 폭등한 이유
2025년 9월 넷째 주, 한국과 글로벌 ETF 시장에서 매우 이례적으로 전략자원(리튬·희토류·팔라듐), 차세대 기술(양자컴퓨팅·AI), 에너지 전환(원자력·클린에너지)이 동시에 강세를 보이며 ETF 수익률 상위를 휩쓸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자 레버리지·인버스 ETF에 동시 자금 유입이 폭발했다는 사실입니다.
즉, 글로벌 메가트렌드 테마 투자 + 한국식 단기 양방향 베팅이 동시에 나타난 한 주였습니다.
🔋 리튬 ETF, 미 정부 ‘지분 참여 보도’로 12% 급등
지난주 국내 ETF 수익률 1위는 PLUS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생산기업 ETF였습니다. 무려 +12.77% 상승했죠.
배경에는 미국 정부와 Lithium Americas(LAC)가 있습니다.
-
9월 24일(현지) 로이터는 미 행정부가 LAC 지분 취득을 모색 중이라는 보도를 내놨습니다.
-
협상이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이 소식만으로도 LAC 주가는 단숨에 90% 이상 폭등했고 관련 ETF가 12% 이상 오르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 리튬아메리카스 사례는 정책 뉴스 → 기업 주가 → ETF 수익률 → 개인 투자자로 이어지는 전이 메커니즘을 보여줍니다.
🧮 양자컴퓨팅 ETF, 왜 두 자릿수 상승했을까?
ETF 수익률 2위와 3위는 모두 양자컴퓨팅 ETF였습니다.
-
SOL 미국양자컴퓨팅TOP10: +10.92%
-
PLUS 미국양자컴퓨팅TOP10: +8.76%
여기에는 IonQ(아이온큐)의 뉴스가 있었습니다.
-
9월 17일, 아이온큐가 미국 에너지부(DoE) Quantum-in-Space 프로젝트에 공식 참여했습니다.
-
이는 양자 네트워킹·우주 응용까지 확장되는 협력이었고, 단순 기술주가 아니라 국가 전략산업으로 격상되는 흐름이었습니다.
👉 아직 양자컴퓨팅은 상용화까지 갈 길이 멉니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이를 “다음 세대의 반도체”로 보고, ETF를 통해 선제적 베팅에 나선 것이죠.
📌 이번 이슈는 국방·우주·보안까지 아우르는 멀티 섹터 테마라는 점에서 더 큰 의미가 있습니다.
💎 팔라듐·금 채굴 ETF, 다시 주목받다
주간 수익률 4위와 5위는 귀금속 ETF였습니다.
-
RISE 팔라듐선물(H): +8.03%
-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7.83%
팔라듐은 자동차 촉매와 전자부품 등 산업용 금속으로 쓰이면서도, 금처럼 귀금속적 성격을 동시에 가집니다. 최근 달러 약세와 투자심리 개선이 겹치며 가격이 반등했고 ETF도 상승세를 탔습니다.
👉 중요한 포인트는 팔라듐이 가진 이중성 자산의 특성입니다. 산업 수요가 줄면 안전자산처럼 움직이고, 공급이 타이트하면 산업·금융 양쪽에서 동시에 가격을 끌어올립니다.
단, 주의할 점도 있습니다. 세계플래티넘투자위원회(WPIC)는 2025년 팔라듐 시장을 균형~소폭 적자로 보지만, 2026년에는 공급 잉여 전환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 원자재 ETF는 지금 오르더라도 사이클 전환에 대비해야 합니다.
☢️ 원자력 ETF와 클린에너지 ETF, 동반 강세
주간 수익률 8위는 PLUS 글로벌원자력밸류체인 ETF(+7.21%)였습니다.
-
이 ETF에는 최근 급등한 Centrus Energy(LEU) 같은 종목이 포함돼 있습니다.
-
LEU는 미국 에너지부와 협력해 차세대 원전용 핵연료인 HALEU(고농축저농도 우라늄)를 공급하는 유일한 상업 생산자로 꼽힙니다.
-
미국 정부가 SMR(소형모듈원전) 확산을 추진하면서 LEU의 전략적 가치가 부각된 겁니다.
동시에 10위에는 TIGER 차이나클린에너지 SOLACTIVE(+6.93%)가 올랐습니다.
즉,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 ETF가 나란히 상승했다는 건 에너지 전환 과정이 ‘기존+신에너지 병행’임을 보여줍니다.
👉 원자력과 태양광은 경쟁 관계가 아니라, 병행되는 글로벌 에너지 전략입니다. 양쪽 모두 포트폴리오에 담는 접근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뇌질환 치료제 ETF, 조용한 강세
조금 생소하지만, KoAct 미국뇌질환치료제액티브 ETF(+7.09%)도 상위 10위에 들었습니다.
-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등 고령화 사회의 대표 질환 치료제 개발 기업을 담고 있습니다.
-
바이오 ETF는 단기 변동성이 크지만, 초고령 사회로 갈수록 수요가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 생소한 ETF일수록 단기적으로는 덜 주목받지만, 인구 구조 변화 같은 거대한 메가트렌드와 연결되면 장기 성장 잠재력이 큽니다.
📈 코스피, 양방향 베팅 자금 폭발
지난주 자금 유입 상위 ETF를 보면,
-
KODEX 200: 8,026억 원 순유입 (1위)
-
KODEX 200선물인버스2X: 5,246억 원 순유입 (2위)
-
TIGER 미국S&P500: 3,899억 원 (3위)
-
TIGER 코리아원자력: 1,627억 원 (4위)
즉,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를 찍자 상승 베팅과 하락 베팅이 동시에 폭발한 겁니다.
👉 이는 투자자들의 심리를 잘 보여줍니다.
-
한쪽에서는 “추가 상승”을 기대하며 레버리지 ETF로 몰리고,
-
다른 한쪽에서는 “조정 불가피”를 예상하며 인버스 ETF에 몰립니다.
📌 주의: 레버리지·인버스 ETF는 일일 복리 효과로 인해 장기 보유 시 지수와 성과가 크게 괴리될 수 있습니다. 금융당국과 SEC도 꾸준히 경고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이런 상품은 단기 트레이딩·헤지용으로만 활용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 한국 AI ETF 상장과 네이버–두나무 이슈
지난 9월 23일, SOL 한국AI소프트웨어 ETF가 상장했습니다.
-
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AI 플랫폼 기업에 집중 투자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
마침 상장 직후, 네이버–두나무 지분 교환 추진 보도가 나오면서 AI ETF가 더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
네이버 측은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지만, 시장에서는 AI+핀테크+디지털자산이라는 새로운 서사가 결합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 정리
-
정책과 자원: 미 정부의 리튬 지분 취득 추진 → 전략자원 ETF 급등
-
기술과 안보: IonQ–DOE 협력 → 양자컴퓨팅 ETF 랠리
-
산업재와 안전자산: 팔라듐·금 ETF 반등
-
에너지 패러다임: 원자력·클린에너지 ETF 동반 강세
-
헬스케어와 고령화: 뇌질환 치료제 ETF 성장성 확인
-
한국 투자 심리: 코스피 신고가 → 레버리지·인버스 동시 자금 폭발
-
신규 테마 상장: AI ETF와 네이버–두나무 스토리 결합
👉 ETF는 산업과 정책의 거울입니다. 정책이 움직이면 기업이 움직이고, ETF가 반응하며, 개인 투자자가 그 흐름에 올라타는 구조가 더욱 선명해지고 있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미국 정부가 리튬아메리카스(Lithium Americas) 지분에 투자한다는 건 사실인가요?
A. 로이터 보도(2025년 9월 24일)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LAC 지분 취득을 모색 중입니다. 아직 확정 계약은 아니지만, 이 소식만으로 주가가 90% 이상 급등했고 관련 ETF도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 정책 뉴스 하나가 ETF 수익률로 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Q2. 양자컴퓨팅 ETF가 갑자기 급등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 2025년 9월 17일, 아이온큐(IonQ)가 미국 에너지부(DoE) Quantum-in-Space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투자자 관심이 폭발했습니다.
👉 양자컴퓨팅은 국방·우주·보안과 연결된 국가 전략산업이기 때문에, ETF가 더 강하게 반응한 겁니다.
Q3. 팔라듐 ETF와 금 채굴 ETF는 왜 올랐나요?
A. 달러 약세와 귀금속 투자심리 개선, 그리고 팔라듐 공급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가격이 올랐습니다.
📌 단, 세계플래티넘투자위원회(WPIC)는 2025년에는 공급이 다소 타이트하지만, 2026년에는 공급 잉여 전환 가능성을 경고했습니다. 즉, 원자재 ETF는 사이클 전환 리스크를 항상 고려해야 합니다.
Q4. 원자력 ETF와 클린에너지 ETF가 동시에 오른 이유는 뭔가요?
A. 원자력 ETF는 Centrus Energy(LEU) 같은 기업이, 클린에너지 ETF는 태양광·풍력 기업들이 포함돼 있습니다.
👉 글로벌 에너지 전환은 “원자력 vs 신재생” 구도가 아니라, 병행 전략이기 때문에 두 섹터가 동시에 주목받은 것입니다.
Q5. 레버리지·인버스 ETF를 장기 보유하면 안 되나요?
A. 네, 권장되지 않습니다. 레버리지·인버스 ETF는 일일 복리 효과 때문에 장기 보유 시 지수와 성과가 크게 괴리될 수 있습니다.
👉 금융당국과 SEC도 이런 위험을 꾸준히 경고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런 상품은 단기 트레이딩·헤지용으로만 활용하는 게 안전합니다.
Q6. 한국 AI ETF는 어떤 기업들에 투자하나요?
A. 2025년 9월 23일 상장한 SOL 한국AI소프트웨어 ETF는 네이버·카카오 같은 국내 AI 플랫폼 기업 밸류체인을 담고 있습니다.
👉 마침 네이버–두나무 지분 교환 추진 보도가 나오면서, AI ETF에 AI+핀테크+디지털자산이라는 새로운 서사가 더해졌습니다.
💡 2025년 9월 ETF 시장은 정책·기술·에너지·인구 구조 변화가 그대로 반영된 거울이었습니다. 미국 정부의 리튬 지분 참여 보도, IonQ의 양자컴퓨팅 협약, 팔라듐과 금 채굴 기업, 원자력과 클린에너지, 한국 AI ETF 상장까지... 한 주 만에 산업과 금융이 얼마나 빠르게 연결되는지 보여줬습니다.
🔗 참고자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